본문 바로가기
엑셀/기초편

[엑셀 기초 4편] 복수 조건 값 더하기 SUMIFS 함수 사용법 조건 두개 더하기

by 하늘의비행사 2022. 12. 7.
728x90
SMALL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이번 편은 더하고자 하는 값을 만족하는 조건이 두 개일 때 값을 찾아서 더하는 함수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조건이 한 개일 때는 SUMIF를 사용하면 된다고 알아보았는데요. 업무를 하다 보면 조건이 두 개인 값을 찾아야 할 때도 있습니다. 일일이 눈으로 확인하고 찾아야 한다면 아찔하겠죠?

 

오늘 살펴볼 함수는? 바로 SUMIFS 함수!! 아하~ SUMIF랑 비슷한데 S가 붙어있구나. 

 

엑셀을 공부하다 보면 왠지 모를 흥미 같은게 점점 더 생겨납니다. 

SUMIFS 함수 설명


 =SUMIFS(합계범위,조건범위1,조건1,조건범위2,조건2) 

 

SUMIFS 함수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엑셀은 수학 같아도 국어로 이해하면 더 이해하기 쉬운 것 같습니다. 저 함수 식을 문장으로 이해하면 합계 범위(예제에서는 점수)에 있는 값들 중에서 조건범위1 중 조건 1을 만족하고, 조건범위 2 중 조건 2를 만족하는(결국 조건1과 2를 동시만족 하는), 값을 찾아주세요.라는 것입니다.

 

엑셀은 암기인 줄 알았던 시절이 있는데 사실 업무를 하다 보면 인터넷을 활용해 필요한 기능을 찾고 누군가 올려놓아 준 함수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는 데까지만 성공하면 그다음은 적용하기가 매우 쉽습니다. 함수를 적으면 인자에 대한 내용이 박스로 표시되니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만 한번 생각해 놓으면 그대로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함수 설명 괄호 속에 SUM_RANGE라고 표시된다면, 아! 첫번째 인자는 더할 범위를 지정하라는 것이구나. 라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SUMIFS 함수 실전


1. 먼저 "=SUMIFS(" 까지만 입력합니다. 그럼 괄호 안에 sum_range를 입력하라는 설명이 나오죠?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2. 합계 범위는 E열 점수를 더할 것이니 E4부터 E19까지를 드래그해주면 됩니다. 드래그 후 쉼표 입력!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3. 다음은 조건범위1을 입력해야 합니다. 질문에서 조건1이 둘리이므로 이름이 있는 C열의 C4부터 C19까지 드래그해줍니다. 드래그 후 쉼표 입력! 그럼 이름에서 둘리라는 조건을 찾겠다는 것입니다.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4. 다음은 조건1을 입력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조건1은 둘리입니다. 둘리가 있는 셀을 선택합니다. 선택 후 쉼표 입력!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5. 다음 조건2는 국어 이므로 조건2를 검색할 조건범위2에 해당하는 회차라고 되어 있는 D열의 D4부터 D19까지를 드래그로 선택해 줍니다. 드래그 후 쉼표 입력!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6. 마찬가지로 조건2에 해당하는 국어 셀을 선택해 줍니다. 선택 후 괄호 닫기!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이렇게 입력하고 나면 둘리의 국어 점수만을 더한 결과값 140이 추출됩니다. 지금은 데이터 값이 적으니까 일일이 찾아도 되지만 만약 데이터 값이 많다면 SUMIFS 함수가 반드시 필요하겠죠?

엑셀 SUMIFS 함수
출처 : 엑셀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