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근로기준법71 배우자 출산휴가 주말 휴일 포함여부 배우자 출산휴가에 근로제공 의무가 없는 날인 휴일이 포함될까?(보통은 토요일, 일요일) 1.배우자 출산휴가에는 근로제공 의무가 없는 날은 포함되지 않음 2.따라서, 회사는 휴가를 부여할 때 근로제공 의무가 없는 날, 쉽게 말해, 평일만으로 10일을 부여해야 함 3.만약 월요일부터 휴가 사용을 신청해서 분할없이 한번에 휴가를 사용한다면 다음주 금요일까지가 휴가기간이 되는 것임 4.따라서 과거처럼 5일+5일로 분할(휴일을 포함시키지 않기 위해)해서 사용할 필요는 없어졌음 참고로, 배우자 출산휴가는 1회 분할 사용이 가능함 1.분할은 법적으로 1회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음 2.분할하는 일수는 사용자의 자유임 3.5+5로 사용할 수도 있고, 7+3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 배우자 출산휴가는 출산일로부터 90일 이내 .. 2023. 10. 22. 2024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월급 주휴수당 안녕하세요. 2024년 최저임금이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시급 기준으로 9860원, 월급 기준으로 206만 740원입니다.(209시간 기준) 2024년 최저임금 2024년 최저시급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시급 기준으로는 9860원입니다. 월급 기준으로는 209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206만 740원입니다. 일급기준으로는 8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78880원입니다. 2024년 최저임금 적용시기 2024년 최저임금은 2024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 따라서 내년 1월 1일부터는 9860원을 못 미치게 임금을 지급할 경우 최저임금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2024년 주휴수당 얼마? 최저시급 기준으로 일급은 78880원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러니 만약 8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계산한다면 1일 주휴수당은 788.. 2023. 8. 20. 2024년 최저임금 9860원 확정 안녕하십니까. 노무파트너 하늘의 비행사입니다. 내년도 최저임금이 진통 끝에 확정되었습니다. 2024년 1월1일부로 변경되는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2023년 최저임금 : 9620원 2. 2024년 최저임금 : 9860원 전년대비 인상액 : 시급기준 240원 월환산액 : 209시간 기준 206만740원 내년에도 업종별 구분없이 모든업종에 동일하게 9860원이 적용됩니다. 다음으로 내년도 최저임금 기준 주휴수당도 알아보겠습니다. 9860원 * 8시간 = 78880원 1일 8시간, 주 40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은 위 계산식처럼 78880원 입니다. 내년도에 이루어질 2025년 최저임금 결정은 정말 최저임금 1만원 시대의 결정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2023. 8. 16.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퇴직금 IRP 계좌 이전 의무화 안녕하세요. 원더플데이즈 하늘의 비행사입니다. 과거에는 퇴직금의 경우 현금으로 근로자 명의 통장 등으로 지급하면 되었고, 퇴직연금의 경우에만 근로자 개인 명의의 IRP 계좌로 이전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2021년 법 개정으로 이제는 퇴직연금 뿐만 아니라 퇴직금도 의무적으로 IRP계좌로 이전해야 합니다. 달라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2021년 4월 13일 아래와 같이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개정되었습니다.(제9조 2항) 제9조(퇴직금의 지급 등) ① 사용자는 근로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당사자 간의 합의에 따라 지급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퇴직금은 근로자가 지정한 개인형퇴직연금제도의 계정 또는.. 2023. 6. 10. 이전 1 2 3 4 ··· 18 다음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