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근로기준법71

해고예고수당 근로기준법 해고예고수당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안타깝게도 누구든지 해고를 당하는 순간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이유야 어찌 됐든 갑작스러운 해고 통보는 임금생활자에게는 생계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근로기준법에서는 해고를 당하는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해고예고수당 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수당,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하지 않다고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해고예고수당 근로기준법 제26조 제26조(해고의 예고) 사용자는 근로자를 해고(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포함한다)하려면 적어도 30일 전에 예고를 하여야 하고, 30일 전에 예고를 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 2022. 9. 9.
시급제 주휴수당 시급제 주휴수당 계산법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회사는 다양한 임금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급제, 일급제, 월급제, 포괄임금제 등 업종이나 직종에 따라서 다양한 임금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알바의 경우에는 단시간 근로가 많아 시급제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월급제는 주휴수당을 별도로 계산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하루 일급이 대체로 주휴수당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급제의 경우 특히 주휴수당이 얼마인지 한번 계산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시급제의 의미부터 시급의 확인, 단시간 근로자 주휴수당, 시급제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적어보았습니다. 시급제란? 시급제는 임금계산의 기초가 월급으로부터 역산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단위로 책정된 임금으로부터 시작되는 임금체계입니다. 다시 말해, 시급을.. 2022. 9. 8.
부모님상 휴가 경조휴가 휴가일수 유급무급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아울러 부모님상을 당하신 분의 크나큰 상심을 위로합니다. 그래도 부모님을 잘 보내드리기 위해서는 직장인에게는 경조휴가가 필요합니다. 부모님상 휴가는 법에서 정하고 있지 않기에 며칠인지, 의무인지 아닌지, 유급인지 무급인지 모를 때가 많고 회사마다 다른 경우도 많습니다. 부모님상 휴가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 경조휴가란 경조휴가는 본인의 경사 또는 조사로 인해 출근을 하지 못할 경우에 회사에 휴가를 신청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결혼식이나 장례식, 환갑이나 칠순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상 휴가나 할머니상 휴가도 모두 경조휴가입니다. 경조휴가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근로기준법에 경조휴가가 있을까요?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2022. 9. 7.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