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MALL

근로기준법71

반차휴가제도 반차개념 반차기준 반차사유 반차시간 사용신청서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회사를 다니다 보면 반차휴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연차휴가를 사용하기에는 왠지 시간이 남을 것 같고, 조퇴를 하기에는 왠지 시간이 모자랄 것 같은 때 우리는 반차휴가를 사용합니다. 다행히 반차휴가 제도가 있는 회사도 있지만 어떤 회사는 반차휴가 제도를 두고 있지 않기도 합니다. 반차휴가는 법적인 휴가제도는 아닌 연차휴가제도의 변칙적인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반차 개념? 반차는 연차휴가를 시간 단위로 쪼개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은 연차휴가 1일의 1/2를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은 연차 유급휴가를 정하고 있을 뿐이며 반차휴가제도를 정한 규정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또한 연차휴가는 원칙적으로 1일 단위로 휴가를 사용하는 것이며 1.. 2022. 9. 22.
결근시 주휴수당 유계결근 무단결근 조퇴 지각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결근을 하면 '무노동 무임금'에 따라 임금이 깎이게 됩니다. 그것도 1일 결근에 최소 2일 치 임금이 깎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결근은 조퇴나 지각과는 달라서 주휴수당 발생에 영향을 줍니다.(핵심내용은 녹색글씨) 결근이란? 결근은 회사와 근로자가 노동력을 제공하기로 한 날, 다시 말해, 소정근로일에 근로자가 임의로 출근을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합니다. 굳이 결근도 종류를 나누자면, 결근 전까지 사용자의 허락을 득한 경우를 "유계 결근"이라고 부르고, 허락 없이 한 경우를 "무단결근"이라고 부릅니다. -유계결근 : 회사가 정한 절차에 따라 신청 및 승인 후 결근 -무단결근 : 회사가 정한 절차를 지키지 않은 채 신청 및 승인 절차 없이 임의로 결근 유계 결.. 2022. 9. 21.
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연장근로시간 근로시간계산법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근로시간의 의미와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두면 내가 몇 시간을 근무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근로시간과 시급을 알면 내가 지급받은 임금이 맞게 지급된 것인지 계산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단순한 것 같은 근로시간도 여러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부터 근로기준법상 주 52시간까지 중요한 내용이 많습니다. 나의 근로시간을 알면 나의 임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핵심은 녹색 글씨) 근로시간이란? 근로시간은 사용자와의 근로계약에 따라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나의 노동력을 제공한 시간을 말합니다. 근로시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법정근로시간, 소정근로시간, 휴게시간을 알아야 합니다. 이것만 알아도 나의 근로시간을 아주 쉽게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법.. 2022. 9. 21.
월급제 일당계산 주휴수당 시급제 차이점 결근 최저임금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임금체계는 매우 다양하지만 시급제와 월급제가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보통은 생산직, 아르바이트는 시급제인 경우가 많고 관리직, 사무직은 월급제가 많으나 반드시 직종에 따라 다른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월급제를 적용받는 사람은 그에 맞는 임금 계산법을 알아두면 나의 임금이 어떻게 계산되고 결근을 하면 어떻게 공제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월급제를 적용받는 근로자의 일당 계산, 주휴수당 계산법, 시급제와 차이점, 결근 계산법, 최저임금 계산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월급제 일당 계산 월급제는 월의 총임금이 고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일당을 계산해보기 위해서는 월급을 "역산"해 보아야 합니다. 역산은 거꾸로 계산을 해본다.. 2022. 9. 2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