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앞으로 사법관계와 행정분야에서 "만 나이" 사용이 통일됩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만 나이 사용을 명시한 민법 일부개정법률안과 행정 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의결했다고 합니다.
물론, 현행 민법에서도 만 나이를 기준으로 계산하고 있지만 일부 법률에서는 만 나이가 아닌 연 나이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또 사회적으로는 세는 나이가 통용되고 있습니다.
이에 민법과 행정 기본법 개정을 통해 만 나이를 명시하도록 한 것입니다.
만 나이 계산법
1. 태어난 해 : 0살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세는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1살로 계산하게 됩니다. 그러나 만 나이로 계산하면 태어나는 해는 0살이며 태어난 후 생일을 포함해서 1년이 지난 다음날에 1살이 되는 것입니다. 만약 2022년 12월 10일 태어났다면 2023년 12월 9일까지 1년이고, 12월 10일에 1살이 되는 것입니다. 이때 태어난 해부터 1살이 되기 전까지는 개월 수로 표시하게 된다고 합니다.
2. 만 나이 계산 예시
1987년 3월 1일 태어난 사람은 2022년 3월 1일 35세가 되며 2023년 3월 1일이 되기 전까지는 여전히 35세입니다. 그런데 세는 나이로는 2023년 1월 1일만 되어도 37세가 됩니다. 태어나는 해에 이미 1살이 늘어났고 2023년 생일이 지나지 않았는데도 또 1살이 늘었기 때문에 만 나이와 비교할 때 2살이나 차이가 나는 시점도 발생하는 것입니다.
만 나이 계산기
다음 포털의 만 나이 계산기를 활용해서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다음 포털에서 만 나이 계산기를 검색합니다. 아래 달력 제일 하단 만 나이 입력창에 태어난 날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계산을 눌러줍니다. 그럼 만 2세라고 만 나이가 계산됩니다.
법이 바뀌어도 한동안은 정착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입니다. 워낙 세는 나이 문화가 강하고 학교에서 같은 반 내에서도 나이가 달라질 수 있는 등 초기에는 여러 혼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