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휴가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계산기 2편

by 하늘의비행사 2022. 9. 30.
728x90
SMALL

바람직한 노무관리와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이전 글에서는 1년 미만 연차휴가에 대해 적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년 이상 근속 근로자의 연차휴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년 이상 근로자는 출근율에 따라 기본적으로 발생하는 연차와 매 2년마다 가산되는 연차가 있습니다. 

2022년

1년 이상 근로자 연차휴가 발생 기준


728x90

1. 1년간 80% 이상 출근 -> 15일 유급휴가

연차휴가는 출근일수/연간소정근로일수가 80% 이상인 경우, 즉, 내가 출근해야 하는 날 중 결근을 제외하고 실제 출근한 날의 비율이 80% 이상 되어야 1년이 지난 때에 15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1년은 본인의 입사일을 기준으로 하는 회사도 있고, 회계연도(1월 1일~12월 31일)를 기준으로 하는 회사고 있습니다. 참고로 2022년 실근로일수는 달력상 245일이며, 80%는 196일입니다. 

 

2. 3년 이상 근속 -> 1년 초과 매 2년 1일 가산 -> 최대 25일

연차휴가는 최초 1년을 초과한 매 2년마다 1일씩 가산되며, 한도는 25일입니다. 아래의 표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구분 1년 2년 3년 4년 5년 6년 7년 8년 9년
출근율 80% 80% 80% 80% 80% 80% 80% 80% 80%
연차휴가   15일 15일 16일 16일 17일 17일 18일 18일

최초 1년을 초과한 2년후에는 15+1일이 가산되어 16일의 연차휴가가 발생하였으며, 4년 차 되는 해에 사용할 수 있는 연차휴가는 16일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 또는 1년간 80퍼센트 미만 출근한 근로자에게 1개월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③ 삭제 
④ 사용자는 3년 이상 계속하여 근로한 근로자에게는 제1항에 따른 휴가에 최초 1년을 초과하는 계속 근로 연수 매 2년에 대하여 1일을 가산한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경우 가산휴가를 포함한 총 휴가 일수는 25일을 한도로 한다.
⑤ 사용자는 제1항부터 제4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를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주어야 하고, 그 기간에 대하여는 취업규칙 등에서 정하는 통상임금 또는 평균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휴가를 주는 것이 사업 운영에 막대한 지장이 있는 경우에는 그 시기를 변경할 수 있다.
⑥ 제1항 및 제2항을 적용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간은 출근한 것으로 본다. 
1. 근로자가 업무상의 부상 또는 질병으로 휴업한 기간
2. 임신 중의 여성이 제74조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휴가로 휴업한 기간
3. 「남녀고용평등과 일ㆍ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에 따른 육아휴직으로 휴업한 기간
⑦ 제1항ㆍ제2항 및 제4항에 따른 휴가는 1년간(계속하여 근로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제2항에 따른 유급휴가는 최초 1년의 근로가 끝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된다. 다만,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연차휴가 사용은 1년 내에!

연차휴가는 1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합니다. 소멸한 연차휴가는 미사용 연차휴가수당으로 보상받게 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계산기 3편 (tistory.com)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계산기 3편

여러분의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연차휴가는 언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연차휴가 사용 시기는 누가 정하는 것일까요? 회사가 시기를 정해주는 것일까요, 아니면 근로자가 시기를 정

wonderfulfather.tistory.com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계산방법은 이전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계산기 1편 (tistory.com)

 

연차 발생기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지급기준 연차 계산기 1편

여러분의 슬기로운 직장생활을 응원합니다. 연차휴가는 우리나라 근로기준법이 의무적으로 부여하고 있는 휴가입니다. 근로자의 일과 가정의 양립, 휴식과 여가생활의 확보, 건강권 사수 등 여

wonderfulfather.tistory.com

지금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