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임금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주휴수당 계산법

by 하늘의비행사 2022. 10. 9.
728x90
SMALL

딸아. 아빠가 오늘은 주휴수당의 지급기준과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말해 줄게. 네가 아직은 어리지만 커서 세상에 나아가고 네 스스로 돈을 벌어보는 날도 올 거야. 학교를 다니며 아르바이트를 하는 날도 오겠지. 그럴 때 네가 받는 돈을 네 스스로 계산해 볼 수 있으면 좋겠어. 아빠는 네가 사업가가 되든, 직장인이 되든 슬기롭고 지혜로운 사회인이 되기를 바라. 네가 지혜로운 사회인이 된다면 돈은 자연스레 너를 따라올 거야.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및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지급기준


딸아. 이걸 기억해. 아빠는 네가 꼭 법과 관련된 일을 하지 않더라도 법을 가까이하는 습관을 들였으면 해. 먼저 주휴수당 지급기준을 정해 놓은 법을 살펴볼까? 법의 이름은 대한민국의 "근로기준법"이야. 근로기준법을 찾는 방법은 아주 간단해. 포털에서 "근로기준법"하고 검색하면 바로 나온단다. 법이 너의 친구까지는 아니어도 먼 이웃은 되었으면 좋겠다. 

근로기준법
제55조(휴일) 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개정 2018. 3. 20.>

법은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반드시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어. 네가 만약 알바를 하게 된다면 법에서 정하고 있는 것처럼, 너는 1주일에 한 번은 유급으로 휴일을 보낼 수 있는 거야. 그건 네가 근로자가 5명도 안 되는 작은 곳을 다니든 그보다 큰 곳을 다니든 마찬가지야.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 이번에는 근로기준법 시행령을 살펴볼까?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30조(휴일) ①  제55조제1항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

 

법은 근로자에게 주휴일을 주도록 정하고 있지만 언제나 유급으로 주라고 정하지는 않았어. 시행령을 같이 보면 1주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사람에게만 유급으로 주도록 정해 놓았단다. 소정근로일을 개근한다는 게 무엇인지 궁금할 수 있어. 아빠가 학교에 다닐 때는 결석을 하지 않으면 졸업할 때 개근상을 받았단다. 먼저 소정근로일부터 알려줄게. 

1. 소정근로일은?

네가 다닐 회사와 너 사이에 근로를 제공하기로 정해 놓은 날이야. 한번 예를 들어볼까? 네가 들어간 회사는 주 5일제이고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일을 해. 네가 회사에 들어가면서 근로계약을 맺는다면 너의 소정근로일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일이 되는 거야. 너와 회사의 약속이 되는 거지. 어때 쉽지?

 

2. 개근은?

개근은 소정근로일을 전부 출근한 것을 말해. 네가 1주일 동안 결근 한번 하지 않고 출근을 했다면 너는 회사를 개근한 것이야. 이제 이해가 되지? 네가 출근하기로 정한 날에 한 번도 결근하지 않고 출근을 했다면, 너는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것이야. 그러면 너는 주휴일을 유급으로 쉬게 되는 거야. 물론, 결근을 했다면 주휴일은 유급이 아닌 무급이 되는 거야. 휴일이지만 돈은 나오지 않는다는 거지. 

 

주휴수당 계산법


728x90

자 이제 거의 다 왔어. 아빠가 이번에는 너에게 주휴수당 계산법을 간단히 알려줄게. 네가 회사에 들어가면 월급제일 수도 있고, 시급제일 수도 있어. 시급제라고 예를 들어 말해 줄게. 먼저 네가 주 5일제, 1일 8시간 근무에 시급이 9160원이라고 가정해볼게. 9160원은 2022년 최저시급이야. 

주휴수당 계산법
통상시급 * 1일 소정근로시간 = 주휴수당
9160원 * 8시간 = 73280원

어때 간단하지? 네 통상시급에 1일 소정근로시간을 곱하면 그게 너의 주휴수당이 되는 거야. 네가 주휴일에 일을 하지 않아도 주휴수당은 너의 월급에 포함돼 받게 될 거야. 

 

다음에는 아빠와 함께 무얼 공부해 볼까?

지금까지 잘 읽어주어서 고맙단다.

728x90
LIST